[트위터 무작정 따라하기]의 머리말은 지면 관계로 상당히 많이 줄여서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제가 썼던 머리말 원문을 옮깁니다.
제가 트위터에 대해서 처음 들은 것은 아마도 '김연아 선수도 트위터 한다‘는 기사였을 것입니다. 바로 가입을 했지만, 별로 관심을 갖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몇 달이 지난 후에야 다시 접속을 했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혼잣말이나 쓰는 곳인 줄 알았던 그곳에 사람들이 북적이고 있었습니다.
뒤뚱 뒤뚱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처럼, 그렇게 더듬더듬 트위터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트위터 사용법을 올려 놓았다고 했지만, 제게는 외계어처럼 보였습니다.
누군가의 글에 답장을 쓸 때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도 헷갈렸고, 내가 쓰는 글을 누구까지 볼 수 있는지도 잘 개념이 잡히지 않았습니다. 이른 새벽 인도의 한 낯선 도시에 떨어진 느낌.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트위터에 자리를 잡게 되었고, 팔로어가 천 명을 넘어설때, 뒤를 돌아봤습니다. 인터넷 전문가인 저에게조차 트위터는 아주 접근이 어려운 “왕국”이었습니다. 그래서, 트위터 입문자를 위해 제 경험을 나누기로 결심했습니다. 도서출판 길벗과 연락이 닿은 것도 그 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행운인 줄 알았던 책 쓰기는 큰 고통이었습니다. 블로그를 통해서 단련된 글쓰기 실력이라고 자부했지만, 책과 블로그는 전혀 다른 매체라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그 뿐이 아닙니다. 많은 부분의 원고를 완성했을 때, 한글로 트위터를 사용할 수 있는twtkr(twkr.com)이 나왔고, 끊임없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한국의 서비스’ 한 단락 정도로 갈만한 내용이었지만, 결국엔 책 전체를 twtkr을 중심으로 다시 쓰는 작업을 해야 했습니다.
트위터의 기본 질문이었던 What are you doing?(지금 뭐하고 계세요?)가 What's happening?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로 바뀌는 근본적인 변화까지 있었습니다.
핑계같지만,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은 지금에야 빛을 보게 되었습니다. 반팔을 입고서 시작했던 작업이 해를 넘겨 두툼한 외투를 입고서야 끝났습니다. 장장 6개월이 넘는 세월 동안 세 번이나 전체를 고쳐 써야 했습니다.
이 책은, 트위터를 하나도 모르는 한국 사람이, 조금만 뒤적여보고 바로 내일부터 아무 문제없이 트위팅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쓴 책입니다. 따라서 학문적인 내용이나 외국 사례 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손쉽게 트위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트위터의 가치는 빛나고 있습니다. PC통신 시절의 따뜻한 사랑방을 느끼게도 했고, 국내외 속보를 가장 먼저 접하는 소식통도 되었습니다. 각계 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의 ‘소통의 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언론은 트위터의 한 마디를 기사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또한, 오늘도 어디선가는 트위터 번개가 이루어지고 있을 것입니다. 과거 PC통신의 동호회가 세대를 뛰어넘는 만남의 장이었다면, 트위터는 세계를 뛰어넘는 만남의 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wtkr을 중심으로 책을 집필한 이유는 단지, 화면의 메시지가 한글이라는 이유만은 아니었습니다. twtkr은 손쉽게 트위터를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무장한 가장 강력한 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각종 한글 메시지와 기능등은 ‘최고의 한국형 트위터 클라이언트’라는 찬사가 아깝지 않습니다.
아마, 이 책이 인쇄되어 나올 때 쯤에는, 훨씬 많은 프로그램들과 사이트가 등장했을 것입니다. 트위터는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을 최대한 담으려 애썼지만, 그 속도를 따라잡기는 역부족입니다. 그래서 제 블로그인 media.hangulo.net (미디어 한글로)를 통해서 달라진 부분 등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책으로 인해 트위터 사용자가 한 명이라도 더 늘어난다면, 저는 한시름 놓겠습니다.
이 책이 있기까지, 20년 전 엠팔(EMPAL)시절부터 지금까지 인연의 끈을 계속 이어온 드림위즈 박순백 부사장님(@drspark)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twtkr의 개선 사항에 대해서 누구보다 더 열정적으로 반영해 주시느라 오늘도 애쓰고 계십니다.
이번에 책을 낼 수 있도록 이끌어주신 시인학교 강승환(@poetschool)님, 많은 조언을 해주신 자격증 서적 전문가 구익환님(@ikhwan9)께도 감사드립니다.
트위터 세계에서 가장 반갑게 맞이해 주신 이정엽님(@cecil0414), 책을 쓰는 내내 힘이 빠질 때 마다 기운을 불어 넣어주신 블로거 장유근님(@Boramirang), 모바일 부분의 조언을 해 준 박성기님(@projecty), 구글코리아 이해민님(@haiminl), 이수경님(@okgenie), 아이폰 관련 자료수집을 도와준 엄관식님(@ludensk)과 김운기님(@gaury), 토씨와 SK트위팅 서비스 관련 자료를 주신 SK텔레콤의 손경찬님(@xinuguru), 윤화진님(@lunatree), KT 번호포털 관련 자료를 제공해주신 KT(@ollehKT), OZ관련 자료 및 기기를 제공해 주신 LG텔레콤(@bloglgt), 멋진 캐리커처를 그려준 김상화님(@CarlosBNKim) 고맙습니다. 부족한 원고를 검토해 주시고 추천사를 써주신 드림위즈 이찬진 사장님(@chanjin)과 한국오라클 최윤석 전무님(@Early_Adapter), 파나소닉코리아의 현석호 팀장님(@hyunsukho)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매번 마감을 어긴 원고를 묵묵히 모두 검토해 주시고 편집해주신 길벗출판사의 이중민 대리(@wizplan)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트위터 세상에서 저를 팔로우 해주신 여러분, 팔로우 해주실 여러분께도 깊은 감사 드립니다.
책을 쓴다는 핑계로 놀아주지도 못했던 두 아들, 성연과 진영, 그리고 사랑하는 아내 순주와 부모님께 이 책을 바칩니다.
2010년 3월
한글로 정광현
이 책의 추천사는 드림위즈 부사장이신 박순백박사님(@drspark)께서 써 주셨습니다. 추천사의 원문도 옮겨 싣습니다. 역시 책에서는 많이 생략되었습니다.
거의 마술적인 경지에 이른 트위터 관련서
트위터의 출현 이래 우리나라에서 지금처럼 트위터가 많은 사람들에게 초미의 관심 대상으로 다가온 적이 없을 것입니다. 이는 최근에 여러 TV나 방송, 그리고 인쇄매체들이 앞다퉈 트위터에 대해 소개를 하면서 촉발된 것이고, 이제는 “트위터“란 단어가 인구에 가장 많이 회자되는 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하여 더 궁금해 하고, 그 실체를 알고 싶어합니다. 이제는 트위터에 대해서 모르거나, 그걸 안 하면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이 된다는 걱정을 하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런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트위터에 대해 잘 설명하거나, 그걸 잘 활용할 수 있게 만드는 서적을 찾고 있습니다.
그간에 출간된 여러 권의 트위터 관련 서적들이 그런 목마름에 대한 해갈(解渴) 기능을 해 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관련서들은 대체로 트위터에 대한 개념 전달에 치우치고, 그 사용법이나 활용의 측면에서는 난삽한 부분들이 많거나 형식적인 설명에 그치고 있어서 아쉬움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트위터는 그 성격 상, 관심을 가지고 직접 뛰어들어 사용한다해도 처음엔 그 실체를 이해하지 못 하는 경우가 태반이고, 그 사용법에 숙달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트위터를 시작했다가 오래 견디지 못 하고 그만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기존의 우리들에게 친숙했던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관련 시스템들과 성격이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간의 트위터 관련서들이 실제로 훌륭한 트위터리안들(Twitterians), 혹은 트위터러(Twitterers)들을 양산하는 데 큰 기여를 했는가하는 점에는 의문이 생깁니다. 대개는 관련서를 구입할 정도의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마저도 책장을 넘기다 덮고 ‘트위터는 어려운 거로구나.’하는 생각으로 실제 사용을 포기하는 일도 적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책은 제목 그대로 독자들이 "무작정 따라하기"만 하면 어느 새 훌륭한 트위터리안으로 변하게 만드는 마술적인 능력을 가진 책입니다. 이 책은 저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철저히 독자의 편에서 독자지향적으로 쓰여졌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독자가 뭘 궁금해 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고, 그걸 단계적으로 설명하면서, 재미나게 읽고, 따라하는 가운데 트위터에 자동적으로 익숙해지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저자가 그간 IT 쪽에서 겪은 수많은 경험을 이 책 안에 쏟아 부었기 때문이라 여겨집니다. 제가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저자와의 오랜 교분 때문입니다. 제가 저자를 알게 된 것은 1989년입니다. 저자가 고등학생의 신분이던 시절에 우리나라의 PC통신이 시작되었고, 우리 두 사람이 그 신매체를 통하여 서로 만나게 된 것입니다. 그 당시의 저자의 통신 아이디는 “초보자”를 영어로 표기한 “choboja”였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 많은 세월이 흘러 그 초보자는 우리나라의 파워 블로거 100인 중의 한 명으로 선정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누구라도 인정할 수 있는 IT계의 전문가 중 한 사람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C통신을 시작하던 당시의 초심을 잃지 않고, 아직도 초보자의 편에 서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의 글은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읽다보면 저자가 가진 전문가의 영역까지 자연스럽게 접근케 만드는 마술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이 책의 목차를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이 책이 다른 트위터 관련서들과는 다르게 구성되고,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저는 위에서 말한 저자와의 사적인 관계를 떠나, 트위터의 한글 클라이언트 중 하나인 twtkr을 만든 (주)드림위즈의 부사장으로서도 이 책 만큼 정확히 twtkr의 사용법을 잘 이해하고 쓴 책이 없다고 단언합니다. 전 http://twtkr.com의 개발 초기부터 이 웹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거의 제품 관리자(product manager)처럼 깊이 관여하고, 지금도 직접 트위터를 통해서 그 관련 질문에 응대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감히 그런 단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개발자, 혹은 제품 기획자마저도 생각하지 못한 방법으로 twtkr의 실체를 효과적으로 알리고,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저희가 만들어 제공한 웹 상의 "twtkr 사용설명서"는 내용이 길어도 안 되고, 또 그걸 너무 간략히 다뤄서 전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없으면 안 된다는 이율배반적인 요청을 기반으로 쓰인 것이기에 twtkr을 깊이 이해하고, 그걸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전달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이 책이 twtkr을 개발한 우리 (주)드림위즈에서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많은 부분을 대단히 훌륭하게 메워주고 있는 걸 보면서 저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을 단순히 twtkr의 사용 설명서로 치부하는 것은 대단히 큰 오해입니다. 이 책은 트위터를 소셜 네트워킹의 가장 큰 목적인 다양한 사회 계층과의 친교 이외에도 이것을 다양한 업무에 적용하거나, 이를 이용한 선진적 마케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그런 목적에 알맞게 트위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트위터를 지원하는 다양한 써드 파티(3rd party)의 유틸리티나 사이트들을 유효적절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저자가 오랫동안 트위터를 사용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이 저서에 잘 녹아있고, 그 경험들을 실제 상황에도 많이 적용해 본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특징들이 쉬운 글과 예제를 통하여 잘 표현되고 있는 것이 이 책의 남다른 장점이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현재까지 나온 그 어떤 트위터 관련서보다도 트위터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좋은 길잡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이 책, “트위터 무작정 따라하기”를 여러분에게 강력히 추천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두 트위터를 하긴 하는데..
귀차니즘으로 인하여 가끔씩 글몇번 쓰는 정도라서... ㅠㅠ
한 번 빠지면, 헤어나오기 어려운 마력이 있는 것이 트위터에요. ^^ 조심하시길, 매력에 빠지면.. ^^
오늘 구매해서 한번 봐야겠군요^^
고맙습니다!
책뒤에 있는 추천사를 볼 때마다 뿌듯합니다.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 주셔서 감사..
책 대박나길 바랍니다. ^^
이홍규 2010.08.07 15:2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저도 트위터 글을 웹사이트에 띄우는 것에 관심이 많아 글을 남깁니다.
저의 지식이 짧아 관련서적이 필요 한데 무작정따라하기서적을 사면 웹사이트에 트위터 글을 보여줄수 있을까요??
저위에 있는것처럼?
트위터 위젯은 무척 쉽게 달 수 있답니다. ^^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